KT, '포스트 애플' 시대 앞당기나 - 어린이인터넷방송국 웹키즈뉴스 Since1997
  • HOME
  • 즐겨찾기추가
  • 시작페이지로
회사소개 설문조사
모바일보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년11월16일sun
기사최종편집일: 2023-06-22 22:01:07
뉴스홈 > 웹키즈뉴스 > 핫이슈
2011년07월04일 01시17분 1118
글자크기 기사내용 이메일보내기 뉴스프린트하기 뉴스스크랩하기
트위터로 보내기페이스북으로 보내기미투데이로 보내기 KT, '포스트 애플' 시대 앞당기나
KT looks for post-iPhone growth engine in global apps network
Pioneering untapped market

 

 

 


Pyo Hyun-myung, president of KT’s Mobile Business Group
KT looks for post-iPhone growth engine in global apps network

By Kim Yoo-chul

Apple, more specifically its iPhone, has changed the game both in name and substance.

Now, all-in-one smartphones are the norm. Samsung Electronics and other handset makers are competing with Apple for a bigger piece of the action.

It more than ever requires the rapid data transmission in large quantities at a reasonable price.

Data means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on smartphones serving as the mother of all mediums.

For Korea, it means an opening for the long-saturated mobile market.

KT, Korea’s second-biggest mobile carrier, is taking advantage of that opening, with, ironically, its idling Wi-Fi network, powering KT’s iPhone marketing.

At the top of endeavors by KT, long enervated by the legacy of its status as a government-controlled enterprise, is its Chairman Lee Suk-chae.

Helping Lee’s KT revolution is Pyo Hyun-myung, president of KT’s Mobile Business Group.

“The ability to provide faster networks and applications is the deciding factor in the new landscape, though pricing and the number of handsets are also important,” Pyo said in a recent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Pyo is a veteran in the telecom industry with over 28 years of experience.

Pyo is putting more focus on the so-called “3W network” — WiBro, Wi-Fi and WCDMA — along with long-term evolution (LTE) to keep pace with the explosion in mobile data usage.

Citing its competitive edge in fixed-line networks, Pyo said KT has a strong advantage over its rivals — SK Telecom and LG Uplus — in the fight over LTE.

KT is the first local telecom firm which released an Andriod smartphone that runs on its 4G WiBro network.

“We have 4G-enabled handsets and networks and that means KT is better positioned than its rivals for expanded coverage,” Pyo said.

Given the surge in data traffic demand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martphones in use, Korean mobile operators are making heavy investments for deploying advanced mobile network services of LTE with SK Telecom and LG Uplus launching LTE networks in July, according to the companies.

But the service coverage will be limited to only around metropolitan areas due to investment costs and the lack of products that support LTE.

“Then there are technology applications. While we will adopt LTE for transmitting wireless data to our smartphone customers, we will stick to the current 3G-based technology for voice-oriented services. The dual strategy does make a lot of sense,” said Pyo.

With such a strong belief over the networks, the executive is pinning high hopes on a rapid expansion of KT’s cloud communications center (CCC) based on its LTE technology.

CCC enables a general server and modem to act as a base station to prepare for the rapidly-growing volume of data traffic while cutting operational costs.

“KT will incorporate the CCC technology in our upcoming LTE services. That’s more about cloud computing. Samsung and Ericsson of Sweden approached us about the system because they are eager to sell systems and not just pieces of hardware,” emphasized Pyo, adding Softbank Chairman Masayoshi Son held a three-hour meeting with Japanese Prime Minister Naoto Kan to secure a green-light to set up a data center in South Korea.

Common application platform

The executive said he is concentrating on the support platform “Econovation” for application developers that will help spur the smartphone era.

Pyo stressed a strategic alliance between the nation’s three carriers to create a pool of mobile applications outside existing app stores has been under way.

Referring to the local carriers’ efforts to get on the Wholesale Applications Community (WAC) track, the executive said a so-called K-WAC — the Korean version of WAC — will generate visible results soon.

"The key point in the new telecom era is the creation of distinguished eco-systems.”

WAC is an organization that has 68 member compan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major operators and manufacturers such as Sony-Ericsson, Vodafone, France Telecom, AT&T and Qualcomm.

The alliance was created in an attempt to carve out a competitive ground amid the current dominance of application marketplaces centered around operating systems such as the Android Market and Apple’s App Store.

Still, the WAC platform is not ready to go head-to-head with market leaders in attracting content developers.

“The key to Apple’s success is its policy of giving big incentives to content developers. That’s why WAC could generate sizable revenues. KT is leading the way as we have closer relationships with China Mobile,” said the executive, adding that China Mobile has 600 million customers.

He expects Samsung’s own mobile platform — Bada, which means ocean in Korean — to face difficulties in winning greater attention because there are doubts over its marketability.

Back to WAC, the telecom expert said the WAC 2.0 version, which supports HTML 5, will be commercially available soon.

“What WAC has to its advantage is that it is addressing fragmentation in terms of distribution as well as the runtime environment itself,” he said.

“As a developer you can publish to a ‘warehouse’ and then an operator can dip into that and take the applications that it needs. The developer, with WAC, doesn’t have to be delivering applications at an operator-by-operator level,” according to him.

Uncertain over telecom policies

In the local telecom industry, the issue of cutting mobile service charges is the top concern for telecom companies as the government’s push to cut prices to help ease inflation may lead to the firms curtailing investment and eventually hurting profitability.

Although the decision by the nation’s top telecom regulator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KCC) is controversial, KT is planning to introduce an initiative to lower its mobile charges, the executive said.

“Yes, we will introduce a new pricing plan for our customers.

But the government should help us invest more to secure more advanced networks and other services to provide better values,” said him.

The market leader SK Telecom will shave 1,000 won off the monthly fee for its customers from September and offer 50 free text messages a month. The plan could cost some $700 million annually for SK, which is sizable by any measure.

The KCC insisted that household spending on telecommunications began picking up from the fourth quarter of 2009 with the introduction of smartphones.

The number of smartphone customers is expected to increase to 20 million at the end of this year from 1.03 million in January of 2010.

KT, with a market share of 30.3 percent, had 11.08 trillion won in wireless business sales last year.

“The government should be consistent in telecom policies. We are concerned that ‘populism’ will hurt our financial soundness,” said Pyo.

The executive also slammed the government’s decision to exclude KT’s participation in an auction for frequency bands.

SK Telecom and KT were excluded from bidding for the most attractive 2.1 GHz frequency band as the government wants a fair competition. ,

“That doesn’t make any sense. It’s against principles of free competition,” Pyo stressed.

He also pointed out that KT is having difficulties in making an effective transition to 4G-based LTE networks as the regulator is still passive on giving out detailed guidelines for ending 2G services.

“The number of KT’s 2G phone customers is below 500,000. The government needs to provide a clear guideline to help accelerate carriers’ transition to next-generation telecom technologies,” he said.

Apple effect

The president said KT is consistently asking Apple to respond to complaints filed by South Korean iPhone customers although there has been some improvements in customer policies.

KT was the first operator to introduce iPhones in the Korean market in November 2009. The move resulted in souring ties with Samsung Electronics.

But Pyo said the alliance between Samsung is “quite solid.” Along with SK Telecom, KT is the avenue for putting Samsung’s strategic Galaxy S-branded smartphones on local shelves.

“When we talk about Apple, I can say Korean customers are sophisticated. As an authorized Apple seller, we are doing more to Apple products under customer-friendly policies.” said the executive, adding Apple has adopted KT’s plea to adopt better Wi-Fi capabilities.

With the exception of Apple, foreign companies have been struggling here because Korean customers demand high standards in after-sales services.

Pyo said his division fared well in terms of revenue and profits during the first half of this year. But he expects tougher market conditions in the second half due to a possible cut in mobile rates and more investments in LTE.

When asked about the timing of the arrival of iPhone 5, he said,, “We will introduce the new product within this year.” Pyo didn’t present sales targets for iPhone 4 and iPhone 5 as the company is eyeing “customer growth” over “revenue growth.”
 




KT, '포스트 애플' 시대 앞당기나

*비씨카드 인수 올해 마무리
*방통위, 2G-3G 전환 가이드 라인 제시해야
*LG유플러스 2.1GHz 주파수 확보는 `이해 안되는 일’

``스마트폰 시장의 폭팔적인 성장은 아이러니 하게도 통신사들에게는 위기의 시작입니다’’

지난 주 표현명 KT (회장 이석채) 사장은 매주 발행되는 코리아타임스의 경제.금융 전문 섹션인 `비지니스포커스’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도매애플리케이션커뮤니티(WAC)’ 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통한 `포스트 애플’ 시대에 리더로써의 힘찬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표 사장은 ``스마트폰 시대에는 소프트웨어가 가장 중요한데 개발자들은 돈 되는 것을 원한다’’며 ``WAC은 애플과 구글이 통신의 영역으로 들어옴에 따라 위기의식을 느낀 전 세계 통신사업자들이 `정신차려야겠다’는 생각하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WAC은 HTML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구글의 안드로이드, 애플의 iOS등 기존의 운영체제와 상관없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 유통시킬 수 있다.

개발자가 표준에 따라 개발한 애플리키에션을 올리면 각 나라의 통신사가 이를 자사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형식이다.

그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높은 욕구를 고려한다면 결국 컨텐츠 비지니스인 WAC이 관심을 받을 수 밖에 없다’’며 ``WAC 2.0의 경우 KT와 삼성전자등 국내 주요 통신사, 제조업체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한국형 슈퍼 앱스토어’인 `K-WAC’의 미래도 매우 밝다는 것이 그의 예상이다. KT는 K-WAC을 단말기에 사전 탑재하는 방안을 고려중이다.

표 사장은 ``WAC은 단순히 애플, 구글과 경쟁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30억명의 시장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에코시스템을 키우는 것’’이라면서도 ``장기적을 봤을 때는 WAC이 iOS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HTML 5의 시대가 올 것’’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중.일 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스마트벨트가 좀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구축될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근거리무선통신 (NFC)을 위한 인프라 조성은 이동통신사가 힘을 합쳐야 하는데 KT의 입장에서는 6억명의 가입자를 자랑하는 중국 최대 통신사인 차이나 모바일과 탄탄한 전략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마트폰 시대’에 1인 창조기업도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표 사장은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련해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은 30%의 수익을 가져가는 반면 개발자는 60%를 가져갈 수 있는 구조’’라며 ``일정곤리 및 메모장 기능을 하는 어썸노트라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1인이 출시 이후 10억원에 달하는 수익을 올린 점은 그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상대적으로 높은 개발자 이익률에도 불구하고 애플이 연간 40%에 달하는 막대한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배경으로는 `가치(value)’ 라는 키워드를 제시했다. 애플리케이션도 철저히 자체 `품질 심사’를 하는 등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면서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기 때문.

애플사의 AS 정책에 대해 표 사장은 ``이 문제는 소비자가 얻는 가치 측면에서 판단해야 한다’’며 ``통신사 입장에서는 적극적으로 고객의 소리를 듣고 반영해야 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 당연하나 AS를 선택할 것인지,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것인지는 소비자 개개인이 판단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그러나 ``KT는 국내 소비자들의 애플의 AS정책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를 애플 본사에 보내고 있고 와이파이를 조금 더 빨리 잡도록 하는 기능은 애플의 적극적인 소비자보호 조치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이폰 5 단말기 출시 계획에 대해서는 ``나와 봐야 아는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그러나 ``연내에는 가능하지 않을까’’라고 말해 빠르면 올해 국내에서 아이폰 5가 시판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이패드와 아이폰의 판매 계획에 대해서는 ``우리는 그런 계획이 없다’’며 ``수익 성장 (revenue growth)이 중요하지 가입자 성장 (customer growth)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라고 역설했다.

비씨카드 인수에 대해서는 `시너지’를 강조했다. 예를 들어 재래시장에서 모바일 기술을 적용, 카드 사용률을 높여 재래시장 활성화에 기여하고 조세 투명성도 높일 수 있다는 것.

표 사장은 ``금융통합 컨버전스 부서에서 인수 작업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뤄지고 있고 비씨카드에서도 태스크포스팀 (TFT) 에서 실무적인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며 ``올해 마무리는 될 것’’이라고 말했다.

2G 사업 종료에 대해서는 목소리를 높였다.

표 사장은 ``정부가 빨리 가이드라인을 정해줘야 한다’’며 ``현재 KT의 2G 서비스 가입자가 50만명 안쪽으로 줄었는데 얼마나 더 줄여야 하느냐’’며 정부의 빠른 판단을 촉구했다.

KT는 지난 3월 말, 3G 서비스 종료 신청을 냈으나 유관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 (방통위)는 최근 KT의 2G 서비스 폐지 승인을 유보하기로 결정했다.

차세대통신기술인 롱텀에볼루션 (LTE) 투자를 위한 2G 서비스 폐지의 필요성은 인정하나 아직 KT의 2G 서비스 이용자가 많다는 의견이 크다는 것이 그 이유.

표 사장은 그러나 ``와이브로 4G 서비스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LTE는 서두르지 않겠다’’며 ``LTE의 경우 타사와 KT와의 차별화된 포인트는 KT의 경우 4G 전용 단말기 및 태블릿을 이미 출시했고 전국 82개 지역, 8개 고속도로 그리고 제주도 전역에 와이브로 망이 촘촘히 깔려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표 사장은 이어 ``LG유플러스가 2.1GHz를 사실상 획득했는데 `승자의 저주’가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요금 인하에 대해 그는 ``다양한 방법으로 KT 고객들의 가치를 높이는 부분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며 ``조만간 공식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상반기 사업 성과에 대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며 ``하반기 이통시장 환경이 녹록치 않아 준비해야 할 것이 많다’’고 토로했다.

yckim@koreatimes.co.kr
출처: The Korea Times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뉴스스크랩하기
웹키즈 (webkids@23bkids.co.kr)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핫이슈섹션 목록으로
 

이름 비밀번호
 62455087  입력
댓글콘선택 : 댓글 작성시 댓글콘을 클릭하시면 내용에 추가됩니다.
냠냠냠 센스! 힝~ 누구? ... 좋아 애도 주식 대한민국 릴랙스 갈래말래 더워 해피cgi 추워요 훗 샤방 해피 화남 훌쩍 >_< 깜빡 소주 반대 찬성 완소 흑흑 헐 ^^ ye~ 굿 복받으세요 미스터 미세스 미스 헉! 후덜덜 덜덜덜 뷁 캬캬캬 아자 뭐죠? 사랑 필요없다 지구를떠라 필승 캬캬캬 지름신 고맙습니다 완전조아 자기야 빠팅 니들이알어 므흣 뭐라카노 추워 하이 ㅋ 사랑해 화이팅 아자아자 쌩큐 힘내 열폭 오늘 하하하 하앙 킹왕짱 뭐니 듣보잡 ok so hot 신상품 2009
[1]
다음기사 : UFO over Volcano Puyehue CHILE, 5 June 2011 (HD 1080).mp4 (2011-07-04 01:58:51)
이전기사 : 수영복만 입고 뛰쳐나와…실내워터파크 화재 (2011-07-04 00:59:06)

웹키즈뉴스 아나운서 및 리포터 카메라기자 모집
회사소개 개인정보보호정책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공지사항 독자투고 기사제보 정기구독
상호명:(주)웹키즈 서울시 서초구 우면동 142 한국교총회관 8층
사업자번호: 214-88-703037 등록익 1997.11.27 발행인/편집인:(주)웹키즈
웹키즈뉴스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 보호를 받으며, 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c) 2025 Webkidsnew.com All rights reserved.